본문 바로가기
알아두면 쓸데있을 정보.

1호선 급행 정차역, 1호선 특급 정차역

by 끼약 2021. 8. 11.
반응형



서울로 출근하는 자의
교통수단, 지하철


출, 퇴근길에 늘 이용하는 교통수단.
수도권에 살면서 서울로
출퇴근을 하는 관계로
늘 1호선을 이용하고 있어요.
저는 일반 열차보다는
급행을 타고 이동하는 편인데요.





제 경우에는 1호선 급행 정차역에서
내리기 때문에 거의 급행열차만
이용하는 중이에요.
확실히 이동시간이 단축되어서
타다보면 일반열차는 거의
안타게 되더라구요.





물론, 일반열차에 비해서는
사람이 좀 많은 편이라는 단점이 있지만
그래도 많은 분들이
급행을 이용하고 계세요.
꾸준히 이용하는 그 중 1인으로서
한국의 대중교통의 편리함에
감탄하고 있어요.





좀 더 편리한 대중교통 이용을 위해
급행열차가 어디에 서는지,
1호선 급행 정차역을 알아두셔야
이용하실수 있겠죠?

경인선 계통
1호선 급행 정차역


동인천 - 제물포 - 주안 - 동암 - 부평 -
송내 - 부천 - 역곡 - 개봉 - 구로 - 신도림 -
영등포 - 신길 - 대방 - 노량진 - 용산





위의 역들을 이용하시는 분들은
급행열차를 이용하시기가
편리하실테니, 꼭 알아두셔서
시간을 절약해 보세요.





1호선에는 좀 더 빠른 급행도 존재해요.
이른바 1호선 특급 열차.
한 시간에 한 대 정도 다니지만
1호선 급행 정차역보다도
훨씬 더 적은 수의 역에
정차하기 때문에
시간맞춰 이용하신다면,
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어요.

경인선 계통
1호선 특급 정차역



동인천 - 주안 - 부평 - 송내 - 부천 -
구로 - 신도림 - 노량진 - 용산





1호선 급행 정차역보다 확실히 적죠?
저도 출근할때는 일부러
시간에 맞춰서 특급열차를 이용해요.
긴 출근시간을 줄이는
좋은 수단이어서 늘 이용중이죠.
출, 퇴근시간을 조금 더 줄이고
싶으시다면 꼭 이용해 보세요.





1호선은 수도권의 전철 중
가장 긴 노선으로 인천의
반대쪽의 노선도 급행열차가 있어요.
경원선쪽의 급행도 운행을 합니다.
이 노선도 정차역을 알아두셔야
편리하게 이용하실수 있을테니
이동시에 이용해 보세요.

경원선 계통
1호선 급행 정차역



소요산 - 동두천 - 동두천중앙 - 지행 -
덕정 - 양주 - 의정부 - 회룡 - 도봉산 -
창동 - 광운대 - 구로





한가지 주의할점은,
경인선 급행과는 달리 주말, 공휴일에는
급행이 운행하지 않으니
완행을 이용하셔야 한다는 점이에요.
알아두시고, 이동시 참고하세요.





한국은 대중교통이 편리하기도 하고
그 퀄리티가 아주 높은 편이라고 해요.
출퇴근, 주말, 휴가시즌 등
꽉꽉 막히는 도로 대신
빠른 전철 이용해서
이동해보시는건 어떠실지?
시원한 지하철 에어컨 시스템은
덤으로 누리실 수 있으니
1석 2조 일듯.




반응형